조회 수 50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020403.jpg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잘못된 다이어트의 대표적인 예가 ‘무조건 굶기’다. 우리 몸의 세포는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삼아 움직이는데, 굶게 되면 포도당을 만들기 위해 아미노산을 근육에서 가져오게 된다. 

즉 식사를 거르면 근육량이 감소하고, 이는 기초대사량 하락으로 이어진다. 기초대사량이 떨어지면 소비되는 칼로리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요요 현상이 생길 위험이 커진다.

고구마, 샐러드 등 한 가지 음식만 먹는 ‘원푸드 다이어트’도 잘못된 다이어트법이다.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중 특정 영양소가 결핍되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

안 먹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무엇을 어떻게 먹느냐가 다이어트를 위한 식이요법의 핵심이다. 아침 식사를 거르는 등 불규칙한 식사를 하거나, 흰 빵이나 설탕이 든 음식을 자주 먹거나, 물을 적게 마시는 식습관도 몸속 독소와 노폐물을 쌓이게 해 다이어트를 방해한다.

성공적인 다이어트를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식이요법은 ▲아침 챙겨 먹기 ▲물 자주 마시기 ▲간식 먹기 ▲식단 일기 작성하기 ▲샐러드만 먹지 않기 ▲잘게 잘라 먹기 ▲유제품 먹기 ▲천천히 먹기 등이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079 한 해 한국서 5만 2천명이나 발생…'탈장' 아세요? file 2020.03.02
1078 집에 있더라도 간단한 운동 해야 file 2020.03.02
1077 술,약물로 손상된 '간', 어떻게? file 2020.03.02
1076 매일 5분 …엉덩이 골밀도 높아져 file 2020.03.02
1075 '입 냄새', 구강 문제?…"15%는 몸속 질병이 원인" file 2020.03.02
1074 몰랐던 '매운맛'의 긍정적 효과? file 2020.03.02
1073 나이 못 숨기는 목주름?...목주름 줄이는 방법이 있다 file 2020.02.29
1072 윗몸 일으키기, 제대로 하는 법은? file 2020.02.29
1071 경제 스트레스로 생긴 우울증? file 2020.02.29
1070 행복 호르몬을 늘릴 방법 5가지? file 2020.02.29
1069 '전통적 남성성' 강하면, 자살위험 높아 file 2020.02.29
1068 시인 기형도가 젊어서 죽은 이유?…질투병 걸린 사람들의 특징 file 2020.02.25
1067 지방이 우리 몸에서 하는 일은? file 2020.02.25
1066 매일 하던 운동을 잠시 쉬어야 할 때는 언제일까? file 2020.02.25
1065 감기 등 몸에 좋은 생강차 효능 file 2020.02.25
1064 나이가 드니…겨울에 더 간지럽네 file 2020.02.25
1063 '뜨끈한 물'로 샤워? 피부 손상 위험 file 2020.02.25
1062 감기 낫게 하는 백신은 왜 없을까? file 2020.02.25
1061 감기에 걸리면 왜 몸이 추워질까? file 2020.02.25
1060 중년 이후 건강은 '삶의 속도'가 결정, 느리게 사는 법 10가지 file 2020.02.13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