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9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상승하는 낮 기온, 온열 질환 주의 필요하다

염증 지속되면 만성통증으로 이어지거나 회복 어려워

온도계.jpg

낮 기온이 상승하면서 온열 질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때다.  온열질환은 열 때문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지속되는 폭염으로 어지럼증, 발열, 구토, 근육 경련,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일사병= 무더위에 장시간 노출됐을 때 체온이 37~40도까지 오르는 질환이다.  무더운 외부 기온과 높은 습도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체액이나 땀으로 전해질, 영양분이 손실되고 수분 부족이 생겨 탈수 증상이 나타난다.

◆ 열사병= 고온의 밀폐된 공간에 오래 머무를 때 체온이 40도 이상 올라가는 치명적일 수 있는 질병이다. 중추 신경계에 이상이 오고 정신 혼란, 발작, 의식 소실이 일어날 수 있다. 열사병이 나타나기 직전 증상으로는 두통, 어지러움, 구역질, 시력장애, 의식 저하 등이 있고 몸이 뜨겁고 건조하며 붉게 보인다. 열 피로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지만 오히려 피부는 뜨겁고 건조해 땀이 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열경련= 고온에 지속적으로 노출돼 근육 경련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7월 말에서 8월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두통, 오한을 동반하고 심할 경우 의식 장애를 일으키거나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

◆ 기타= 강한 자외선에 노출된 눈이 일시적으로 화상 증세를 보이는 광각막염, 높은 온도와 습도로 인한 피부 질환 등도 온열 질환에 포함된다.

◆ 대응 방법은?= 이런 증상들이 나타나면 병원에 도착하기 전까지 체온을 내리는 '증발 현상'을 유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서늘한 곳에서 옷을 벗고 시원한 바람 쐬기, 피부에 물 뿌리기 혹은 아이스팩 대기 등으로 열을 내리는 것이 좋다. 또 염분이 포함된 음료를 마시거나 병원에서 수액을 통해 수분과 염분을 보충하도록 한다. 뇌의 체온조절중추가 고열로 인해 기능을 잃게 되면 체온 조절이 안 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체온을 내려줘야 한다. 병이 더 진행될 경우 우리 몸의 혈액 응고 시스템에 이상이 생겨 다양한 부위에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고혈압, 당뇨 등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이라면 더욱 조심해야 한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739 열대야, 숙면에 도움되는 음식 file 2019.08.10
738 50대 심혈관 건강, 치매 발병 좌우 2019.08.10
737 인스타, 와츠앱에 '페이스북' 이름 들어간다 file 2019.08.06
736 스트레스 해소법 3가지는? file 2019.08.06
735 폭염속 운동 해도 괜찮을까? file 2019.08.06
734 운동 꾸준히 하면 과식해도 건강 문제 없어 2019.08.06
733 간 해독 기능을 도와주는 식품은? file 2019.08.06
732 커피 암 유발 논란 잦아드나 file 2019.08.06
731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알레르기는? file 2019.07.30
730 대수롭게 넘기지 말아야할 복통 증세 3가지 file 2019.07.30
729 훈제생선 가급적 섭취 줄여야 2019.07.30
728 포도 레스베라트롤, 우울증 완화에 효과 있다 file 2019.07.30
727 일광 화상 입었을 때 해야 할 조치는? file 2019.07.30
726 여름철 불면증...혹시 약 때문인가? file 2019.07.27
725 젊을 때 안 나던 냄새....노인 냄새의 비밀은 '피지'에 있다 file 2019.07.27
724 다리의 근육이 건강을 지켜준다 2019.07.27
723 생선 먹으면 대장암 발병 뚝 떨어져 file 2019.07.27
722 사랑 나눈뒤 15분안에 해야할 일? file 2019.07.27
721 더울때 소화에 도움주는 음식 5가지 file 2019.07.23
720 아침 쾌변을 위한 3가지 습관 2019.07.23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