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1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하버드대 석사 출신 흑인 라티그씨
한국서 탈북자들 무료영어 가르쳐

Screen Shot 2018-04-10 at 11.36.49 AM.png



미국의 명문 하버드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한 미국인이 미국내에서의 모든 제안을 뿌리치고 한국에작은 단체를 설립, 탈북자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서울 마포구에 있는 TNKR(Teach North Korean Refugees) 및 이 교육기관을 운영하는 미국인 케이시 라티그씨는 그동안 한국 언론에 여러차례 보도됐다. 

조선일보는 최근 TNKR을 방문 라티그씨를 인터뷰하며 이 단체를 크게 소개했다. MBC나 한국일보도 보도했다. 그는 2013년부터 탈북자에게 무료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데, 탈북자 사이에서 '고마운 은인'으로 불린다.

탈북자에게 영어는 생존 문제이면서 동시에 어려움을 겪는 과제라고 한다. 한국에 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영어를 배우고 알게 모르게 영어에 노출되며 살고, 실제 쓰는 말 중에 외래어를 많이 접한다. 그러나 탈북자 입장에선 영어나 외래어가 굉장히 생소하다. 통일부 조사 결과 탈북자들은 '외래어로 인한 의사소통'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는다. 

탈북자들 중 일부는 자비로 학원에 다니지만 기초가 없다 보니 따라잡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경제적인 부분도 문제가 된다. 독학은 더 어렵다. 

TNKR에는 영어를 가르쳐주는 외국인 자원봉사자들이 수십명이나 된다. 탈북자들은 외국인 선생님을 적게는 1명부터 많게는 10명 이상 신청할 수 있다. 자신이 공부할 의지만 있으면 시간이 맞는 선생님과 계속 만나 공부를 하는 것이다. 한 번 만나면 최소 두 시간 이상 공부를 하도록 프로그램이 짜여 있다."

탈북자 중에선 북한의 실상을 세계에 알리거나 국제기구에서 일하고 싶어 하는 이들이 많다. 라티그씨는 “탈북자들이 사회에 정착하는 것은 한국 사회에도 도움을 주는 일”이라고 했다.  

지금까지 KNKR을 거쳐간 탈북자는 4년간 400여명이라고 한다. 이 기간 영어를 가르쳐주는 자원봉사자만 600여 명이 참여했다. 항상 대기 명단에 교육받기를 원하는 탈북자들이 100여 명 남짓 있다. 

라티그씨가 처음 한국에 온 것은 1992년이다. 그해 미국 LA에선 폭동이 일어났다. 한인 사회는 주요 공격 대상이 되며 발칵 뒤집혔다. 흑인들에겐 한인이, 한인들에겐 흑인이 증오의 대상이었다. 하버드 대학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친 라티그씨는 LA 폭동 일주일 후 한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그는 그날 비행기에 탑승한 사람 중 유일한 흑인이었다. 

라티그씨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CATO Institute라는 싱크탱크에서 연구원 생활을 했다. 교육 정책 전문가로 활동했던 덕에, 높은 연봉으로 유혹하는 기관이나 연구소도 있었다."

그러나 그는 한국행을 택했고, 작은 한국 단체에서 많은 일을 할 수 있다도 했다. 행복감은 지금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더 크다고 한다.

그가 탈북자를 돕는 활동을 하게 된 계기는 2012년 2월 중국에서 탈북민들이 강제 북송된 사건에 충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는 관련 집회에 몇 번 참가했다. 말도 안 되는 비윤리적인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데, 반응이 생각보다 민감하지 않았다. 자유가 없는 곳에서의 삶의 무게를 너무 쉽게 대하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 뭔가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탈북자들의 생활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게 전부였다고 한다.

물로 단체 운영이 쉽지 않다고 했다. 어쩔수없이 후원금에 기대 운영하는데, 후원자 대부분은 외국인들이다. 미국, 유럽 등에서 우리 단체의 활동 소식을 듣고 취지에 공감한다며 후원금을 보내준다. 자원봉사하며 영어를 가르치는 외국인들도 돈을 낸다고 한다. 한국인 지원은 거의 없는 편이다.\"

한국내에서의 지원이 적은 이유에 대해, 그는 탈북자들에 대한 관심이 생각보다 적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국에 처음 왔을 때도 그랬고, 요즘도 무관심에 많이 놀란다는 것이다.

이 단체를 운영하기 위해선 시설 임대료나 교재비 등 최소 수천만원이 필요하다고 그는 말한다. 라티그씨와 운영진은 사비까지 들여 활동하고 있는데, 이곳에서 영어를 배우는 탈북자들은 이들이 화를 내거나 목소리를 높이는 모습을 한 번도 보지 못했다고 한다. 

전화 (02)6929-0942

 

Screen Shot 2018-04-10 at 11.37.38 AM.png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802 美서부, 한국면적 20% 불타…사망 31명 file 2020.09.15 8067
2801 "자동시민권제" 폐지 공화당 발의 할것 file 2018.11.04 8067
2800 "선거 패배 인정 안하는 로툰도시장 사퇴해야" file 2018.06.17 8067
2799 연방법원, '오바마케어' 위헌 판결…美 정가 '태풍의 눈' 된다 file 2018.12.18 8065
2798 사형 집행 4시간 전 집행 정지 명령으로 목숨 건진 美 사형수 file 2017.08.27 8064
2797 LA 가주마켓, 2천만불 파산보호 신청 file 2020.01.14 8063
2796 불법체류 고용단속 2배나 급증 file 2018.05.20 8059
2795 '개인정보 유출' 페이스북 위기…수십억불 벌금 가능성 file 2018.03.20 8059
2794 세계최대 마약왕 '엘 차포'의 뉴욕 재판 file 2018.11.06 8054
2793 드리머 180만명 구제…다시 원점으로 file 2018.12.11 8050
2792 흑인 여성동성애자, 시카고 시장 당선 file 2019.04.07 8049
2791 트럼프 이후 이민신청서 적체 2배이상 악화 file 2019.02.05 8049
2790 불법체류자 체포 연간 4만명 꼴 file 2019.03.26 8048
2789 동생 유해담아 평창에 온 뉴욕출신 선수 file 2018.02.09 8048
2788 美행정부, 이민자 압박하는 공적부담 규정 개정안 발표 file 2018.09.25 8047
2787 미국서 자녀를 차안에 놔두고 쇼핑? file 2017.10.08 8047
2786 3억불 잭팟' 50대 美싱글맘…트럭 바닥에서 복권 발견 file 2018.11.10 8046
2785 구글 웨이모, 레벨4 자율주행차 생산 시작 file 2019.05.12 8044
2784 칙필레 기부 끊긴 미국 구세군 "우리는 오보의 희생양" file 2019.12.03 8043
2783 재산 모으기 위해 홈오너가 갖춰야할 결심 file 2019.01.04 8043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