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최저임금 7.25달러를 5년에 걸쳐 15달러로 인상한다는  바이든의 공약, 좌초 위기

 

1.png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대선 공약 가장 인기가 많았던 최저임금 2 인상안이 취임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 의회와 전문가 그룹에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바이든도 법안의 의회 통과 가능성이 낮다고 인정했다. 실제 공약이 폐기되면 바이든의 ‘1 포기 공약 있다.

 

바이든은 대선 민주당 당론을 받아들여 현재 7.25달러인 시간당 연방 최저임금을 2025년까지 5년에 걸쳐 15달러로 올리겠다고 공약했다. 취임 직전에도 의회 입법을 촉구했다.
 

미국의 최저임금은 주마다 다르다. 전체 50 29개주는 연방 기준보다 높다. 워싱턴 DC 뉴욕, 캘리포니아 등은 이미 15달러다. 그러나 조지아·텍사스 21개주는 연방 최저임금을 따른다.

 

최저임금을 넘게 올리겠다는 공약이 가능했던 2009 이래 최저임금이 12년간 동결됐기 때문이다. 물가 상승분을 감안하면 실질 최저임금이 1970~1980년대보다 떨어졌다는 분석도 있다.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도 낮은 편이다. 특히 최저임금 노동자가 여성, 흑인, 10~20대에 집중돼 있어, 이런 계층을 지지 기반으로 삼는 민주당이 사활을 걸어왔다. 코로나로 심화된 양극화를 해소할 경제정책으로도 홍보했다.

 

반면 공화당은 기업 부담과 재정 악화 등을 들어 반대해왔다. 그런데 최근 민주당 일각에서도 심상찮은 기류가 형성됐다. 민주당 맨친 상원의원이최저임금 인상 폭은 책임 있는 수준이어야 한다 법안의 원안 통과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상원은 민주당과 공화당이 의석이 5050으로 갈려 있어 민주당 반란표가 나오면 법안 통과가 어렵다.

 

특히 의회예산국(CBO) 최근 발표한 보고서가 정책의 미래를 불투명하게 만들었다. 의회예산국은최저임금을 15달러로 올리면 노동자의 10% 달하는 1700만명이 직접 수혜를 본다이에 따라 빈곤층에서 벗어나는 국민은 90만명에 달할 이라고 추산했다.

 

그러나 의회예산국은최저임금이 오르면 고용주 부담이 커지고 자동화 투자 등이 활발해져 결과적으로 140만여 명의 일자리가 사라지게 이라고 했다.

 

늘어난 임금 부담이 소비자에게 전가돼 경제 생산량이 줄어 실업을 자극하고, 코로나 이후 경기 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있다 봤다. 공공 부문 임금 인상으로 정부 지출이 늘면서 향후 10년간 연방정부 누적 적자도 540억달러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협상주의자이자 현실주의자인 바이든도 최저임금 인상을 후순위로 미루는 분위기다. 이미 19000억달러 규모의 코로나 경기 부양 예산안을 두고 공화당과 힘겨루기를 하는 상황에서, 최저임금 인상까지 동시에 추진하기 힘들게 됐기 때문이다. 바이든은 최근최저임금 인상안을 경기부양안에 포함시켜 처리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살아남기는 힘들 같다 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162 백인경찰에 의해 숨진 플로이드 유족, 2700만불 배상 합의 file 2021.03.16 6538
3161 서류미비자라도 합법신분 가족 있으면 file 2021.03.16 6901
3160 美대학에만 34억불 기부한 전 뉴욕시장 file 2021.03.09 6304
3159 뉴저지, 결혼식 피로연 150명까지 허용…다른 실내모임은 10명 제한 file 2021.03.09 6414
3158 미국 주정부들, 백신 접종 연령 50대로 낮춰…공급 확대 덕분 file 2021.03.09 6724
3157 뉴욕주 원내대표 포함, 의원 수십명, 쿠오모 사퇴 요구.. 거부시 탄핵 추진 file 2021.03.09 6201
3156 뉴욕경찰, 인질사건에 AI 로봇경찰견 투입 file 2021.03.09 6201
3155 주유소 설립은 안돼!...美소도시의 결단 file 2021.03.09 6817
3154 미국내 합법이민, 2배로 증가한다 file 2021.03.09 6997
3153 미국에서 주택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은?...캘리포니아주 애서튼 1위 file 2021.03.09 9109
3152 미국 국민 절반, 1년째 코로나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 file 2021.03.09 7139
3151 애플 VR헤드셋 내년 출시, AR글래스는 2025년 file 2021.03.09 6980
3150 맨해튼 고급주택 거래, 5년 만에 가장 많아 file 2021.02.23 8098
3149 머리에 곱창밴드 질끈 멘 영부인…인기만점 file 2021.02.23 7050
3148 서류미비자 시민권 허용 이민개혁법 상정 file 2021.02.23 6733
3147 가정집 전기요금이 1만 7천불...텍사스 주민들 한파로 두번 운다 file 2021.02.23 5270
3146 트럼프 퇴임 한달만에…한 시대 풍미한 뉴저지주 트럼프 호텔 철거 file 2021.02.23 5522
3145 뉴저지 백신 접종소 250곳…주정부나 병원 웹사이트로 사전등록 file 2021.02.23 5840
3144 엔진고장 美 여객기, 파편 날리며 비상착륙 file 2021.02.23 5833
3143 파우치 소장, 내년에도 마스크 써야할 가능성… 美 사망 50만명 넘어 file 2021.02.23 5221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